먼 조상의 인간은 주변 환경을 범주화(정리) 하여 적응하고 이용하고자 했으며, 이러한 범주화 성향은 우리의 뇌의 발달의 기본 원동력이 되었다. 즉, 현재 우리의 뇌는 범주화에 최적화 되어있다 할 수 있다. 정보가 쏟아지는 현대 사회에서 우리는 주변 환경, 사회, 시간 등에 대한 정리를 통해 범주화 하고자 하는 뇌의 특성을 이용하여 정신 자원을 절약하고, 더 창조적인 일에 그 자원을 투자할 수 있다. 본 책에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을 소개한다.
저자:
- 대니얼 J. 레비틴 (Daniel J. Levitin)
인지심리학자, 신경과학자, 몬트리올 맥길대학 심리학/행동신경과학 교수. AT&T,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등 여러 기업의 자문역 담당.
* 블로그 글쓴이의 생각은 이와 같이 표시했습니다. 이탤릭체는 책의 구절과 거의 유사하게 인용한 부분입니다. 블로그 글쓴이가 강조하기 위한 부분은 밑줄을 표시했습니다.
목차:
서문 | 정보, 그리고 성실한 정리
제 1부
01 정보는 넘쳐나고 결정할 것은 너무 많다 | 인지 과부하의 속사정
02 제일 먼저 이해해야 할 것 | 주의와 기억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제 2부
03 집안의 정리 | 정리 정돈의 시작은 집에서부터
04 사회세계의 정리 | 오늘날 사람들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가
05 시간의 정리 | 무엇이 미스터리인가
06 어려운 결정을 위한 정보의 정리 | 삶이 위태로운 순간
07 비즈니스 세계의 정리 | 가치를 창조하는 법
제 3부
08 아이들에게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 정리된 마음의 미래
09 그 외 모든 것의 정리 | 잡동사니 서랍의 힘
02 제일 먼저 이해해야 할 것 | 주의와 기억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주의 시스템은 크게 '몽상 모드', '중앙관리자' 모드, '주의 필터', '주의 스위치' 4가지로 나뉜다.
차를 타고 이동중에 창 밖을 물끄러미 바라볼 때, 경치가 좋은 곳에 앉아서 먼 곳을 바라보며 현재를 만끽할 때 등 현재에서 벗어난 공상에 빠지는 상태를 본 책에서는 '몽상 모드(mind-wandering mode)'라 정의한다. 이 순간에는 다양한 영역의 생각이 자연스럽게 섞이기 때문에 창의성 발휘에 효과적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를 만드는 뇌 네트워크가 존재한다 (특정 부위에만 국한되지 않다). 이와 반대로 '중앙관리자(the central executive)' 모드는 우리가 어떤 문제를 집중해서 해결하는 상태를 말한다. 이 두 가지 상태는 우리 뇌에서 음양을 이루며, 한 모드가 동작하면 다른 모드는 동작하지 않는다.
세번째로 '주의 필터'는 몽상 모드와 중앙관리자 모드에 관계 없이 무의식 속에서 중요할지도 모를 것을 찾아 환경을 끊임없이 감시한다. 예를 들면, 중앙관리자 모드가 과도하게 활성화 돼서 포식자가 다가오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면 목숨을 잃을 수 있기 때문에 이런 상황을 감시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주의 스위치'는 몽상 모드, 중앙관리자 모드 사이의 스위치 역할을 한다. 두 가지 모드를 자유롭게 넘나들 수 있게 해준다. 몸에 붙은 벌레를 쫓고, 다시 생각에 잠기는 상황을 예로 들 수 있다. 뇌의 영역 중 '섬엽(insula)'이 이 역할을 한다.
인지신경과학자들은 현대에 이르러 뇌의 기능을 부위별로 나누는 것이 아닌, 네트워크로서 바라봐야한다는 연구 결과를 인정하고 있다. 가정의 전기가 한 부분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닌, 집안 전체 배선에 걸쳐서 존재하는 것과 유사하다. 한 부분이 끊어지면 다른 부분의 기능이 마비될 수 있다.
우리가 잠드는 상황을 생각해보면, 자거나 깨어있거나 이 둘 중 하나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실제로 우리 뇌는 그렇게 동작하지 않는다. 우리가 깨어있는 순간에도 우리 뇌의 일부 부위는 잠에 빠져들 수 있고, 나머지 부위는 깨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위에서 소개한 주의 시스템도 이와 유사하게 동작한다. 물건을 엉뚱한 곳에 놓고 잃어버리는 상황을 예로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우리 뇌의 빈 틈을 채우려면 특정 물건을 항상 두는 공간을 확보해놓는 것과 같이(열쇠를 거는 특정 장소) 우리의 기억을 '외부화' 하는 것이 큰 도움이 된다.
< 내용 추가 예정입니다 :) >
'뇌과학, 심리학 > 정리하는 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리하는 뇌 (1) - 대니얼 J. 레비틴 (0) | 2023.07.03 |
---|